[ENG]
<Camping> is the work was installed for the project exhibition <Limited Space>.
All Artists participated in the exhibition realized the exhibition as a big theather. Each of works have wheels having a possibility of movement during the exhibition. In the limited gallery spaces works show how people are adapting to keep touching with outside of world.

<Camping> was standing at the coner of gallery between big two windows. Audience who visit the exhibition can choice to appreciate work. If the gallery door colsed, audience can see the work through windows. However, because the height of work is almost persons’ height, audience can’t watch video but figure.
If the audience enters the exhibition space, they can watch the video by coming close to the work or standing on the bench. Chromakey pieces placed in circle on the floor are tangled in the shape of grass growing in nature. A long black wire that seems to have grown only in this heap of rootless grass rises to eye level and connects the monitor. On the monitor, gestures of cooking on live grass taken from nature are played silently.

When faced with an unfamiliar situation, we accept strange feelings as a problem and find ways to solve them. And we already have the 'powerful all-round screen', a familiar tool. However the more you continue to use it, the greater the awkwardness feeling in the absence of the physical senses. The title of the work, Camping, is also inspired by the behavior of staying in a place for a long time in a video game. Taking a camping stance in a game is a passive attitude that does not affect the game at all, and only the possibility of a tiny game reversal is latent. It has reached that camping with a screen in a limited space seems to be an active and productive activity, but it may just be a state of "dot" that stays still.

[KOR]
<캠핑>은 Limited Space 프로젝트 전시에 설치 되었던 작업이다.
이 전시에서 작가들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강제로 고립된 공간에 머물게 된 상황의 변화에 어떻게 개인이 적응해 나가는지 관찰하고 세상과 접촉을 이어나가는지에 대한 방법을 제시한다. 전시에 참여하는 모든 작가는 휠이 달린 무대 형식을 기반으로, 각각의 작품들을 이동하며 여러 작품들이 갤러리의 제한된 공간 내에서 움직임의 가능성을 가지고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전시를 구현 했다.

<캠핑>은 갤러리의 큰 창이 있는 코너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관객은 전시장 외부에서 두개의 큰 창을 통해 보거나 내부에서 작품을 관람할 수 있다. 갤러리의 문이 닫히면 관객은 밖에서 작품을 볼 수 있지만 눈높이에 거의 맞춰 설치된 모니터는 볼 수 없다. 그리고 공간이 오픈되면 관객은 안으로 들어와 까치발을 하거나, 갤러리 내부의 벤치에 올라 모니터에 재생되는 비디오와 함께 작품을 볼 수 있었다. 바닥에 동그랗게 놓여진 크로마키 조각들은 자연에서 자라는 풀의 형상을 하고 엉켜있다. 이 수북히 놓여있는 뿌리없는 풀더미 사이에서 오직 성장한 것 처럼 보이는 긴 검은 전선은 눈 높이까지 올라와 모니터를 연결한다. 모니터에는 식사를 준비하는 듯한 제스처들이 생기있는 풀들 위에서 소리없이 재생된다.

낯선 상황에 마주했을 때 우리는 그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방법을 찾는다. 우리에게는 이미 익숙한 도구인 ‘만능 스크린’이 있다. 세상의 모든 지식과 방법들이 모여있는 스크린 속은 낯선 상황에 적응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이를 계속 이용할 수록, 물리적 감각의 부재에서 느껴지는 어색함은 더 커질 뿐이다. 이 작업의 제목인 ‘캠핑’은 비디오 게임에서 한 장소에서 장기간 머무르는 행동에서 영감을 받은 것 이기도 하다. 게임에서 캠핑의 자세를 취하는 것은 게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소적적인 태도이며 아주 작은 게임 반전의 가능성만 잠재한다. 이는 제한된 공간 안에서 스크린과 함께 하는 캠핑이 적극적이고 생산적인 활동을 하는 것 처럼 보이지만 그저 가만히 있는 ‘점’의 상태일 수 있음을 암시한다.